Front-end
타입스크립트 | 함수 호출 시그니처 과제
바닷가쟤
2023. 8. 31. 15:52
TS Playground - An online editor for exploring TypeScript and JavaScript
The Playground lets you write TypeScript or JavaScript online in a safe and sharable way.
www.typescriptlang.org
function last<T> (arr: T[]):T {
return arr[arr.length - 1]
}
function prepend<T>(arr:T[], item:T):T[] {
arr.unshift(item)
return arr
}
function mix<T>(arr1:T[], arr2:T[]):T[] {
return arr1.concat(arr2)
}
function count<T>(arr:T[]):number {
return arr.length
}
function findIndex<T>(arr:T[], item:T) {
if(arr.includes(item)) {
return arr.findIndex(i => i === item)
} else {
return null
}
}
function slice<T>(arr:T[], startIndex:number, endIndex?:number) {
return arr.slice(startIndex, endIndex)
}
TS 미니 과제(?)로 렇게 풀었다.
사실 ㄴㅁㄷㅋㄷ 챌린지인데 이게 맞는걸까?(내일 정답 나옴)
호출 시그니처를 사용한게 맞...나?
배열데이터를 인수로 받는게 계속 나와서 <T>를 많이 쓴 것 같다...
호출 시그니처
function sum(a:number, b:number) {
return a + b;
}
이 흔한 함수 녀석을
(a: number, b:number) => number;
(a: number, b:number): number;
타입스크립트 문법으로 이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고 한다.
TS보다 JS 메서드 공부하는 느낌
코테를 꾸준히 풀었어서 그런지 메서드 사용에 익숙하다.
TS 개념이 막 어려운 것도 아니라 이게...이게 정말 맞나..? 끝인가..? 싶어서 당황스럽다
일단 지금 패캠 필수 강의와 ㄴㅁㄷㅋㄷ TS로 블록체인 만들기 강의 둘 다 70퍼정도 들은 것 같다.
ㄴㅁㄷㅋㄷ는 2주 챌린지 신청해서 매일 퀴즈나 과제 풀고 있고, 내일이면 강의는 다 들을 것 같다.
두 강의를 같이 들으니까 이해가 잘 된다. (처음엔 블록체인 강의땐 무슨 소린지 모르겠었듬)
아무튼 TS도 다음주까지 열심히 해보자 !
728x90